소통광장

FAQ

자주묻는 질문을 확인하세요.

교정연령은 출산예정일 = 40 0을 출생일로 생각하고 환산한 연령입니다

발달검사 도구 (한국영유아교발달선별검사, 베일리 발달검사) 들이 대부분 교정연령 24개월까지 교정연령을 기준으로 발달 평가를 하며

그 이후에는 출생일 기준의 생활연령을 기준으로 발달 평가를 합니다

24개월 시점에서 생활연령으로 평가한 성장, 발달 또래와 큰 차이가 없다면 교정연령을 크게 의식하지 않아도 됩니다

반면, 초미숙아들은 교정연령과 생활연령이 3~4개월까지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애매한 경우에는 만 3세까지 교정연령을 기준으로 대입하는 것이 정확한 접근이며

연속적인 성장/발달 추이가 어떠한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

보통 3세 이후에는 몇 개월이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생활연령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
 

이른둥이 아이들은 교정연령 (출산예정일, 400일을 출생일로 생각하고 환산한 연령) 을 기준으로 발달 평가를 하게 됩니다

, 현재 생후 4개월인 아이가 교정연령으로 2개월이라면, 2개월의 발달 단계를 보이면 됩니다.

이른둥이들에 대해서는 만삭아들에 비해 보다 더 적극적으로 발달 지연 여부를 평가하고 개입하게 됩니다

세브란스병원 이른둥이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재원기간부터 필요시 조기 재활을 병행하며

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느껴지더라도 교정 3-4개월 경 신생아과와 재활의학과에서 발달 단계를 확인하며 

1세 이전에 발달 정밀 검사인 신생아 초기선별검사 (베일리 검사 및 전문 평가 도구를 사용한 소아심리실 검사) 를 통해 발달 지연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고 있으며 

2세 전후와 3세 전후, 그리고 필요시 학령기까지 발달 평가를 이어가게 됩니다.

, 기본 외래 방문 일정에 맞추어 내원 시 발달에 대한 평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, 필요한 경우 늦지 않게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합니다.


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는 마음으로 아이를 바라봐 주는 것을 권합니다. 아이의 행동에 대한 애정 어린 관심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발달 촉진에도 도움이 됩니다. 


1세 까지의 발달 단계에 대해서는 교육정보>연령구간별 교육> 정상 발달 이정표

발달 장애에 대한 내용은 교육정보 >질환 별 교육 >신경 발달 장애

에서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